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Web Basic

Json Web Token 웹사이트에 수많은 사용자가 접속을 하는데 그 중 회원/비회원 여부에 따라 로그인 인증 결과에 따라 접근 권한을 부여를 할지 결정해서 응답을 해줘야한다. 특정 사이트에서 어떤 활동이든 사용자의 로그인 여부가 매번 확인해야된다. Q) 브라우저에 사용자 로그인 정보를 저장한다면? A) DB에 저장된 사용된 계정의 해시값 등을 꺼내온 정보가 사용자의 암호를 복잡한 알고리즘으로 계산한 값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여 사이트에서 모든 활동에 대해 실행하기 굉장히 부담되는 작업이다. 시간+자원 손해/매번 아이디,패스워드 정보가 이동되면 보안상 취약 이러한 취약성을 보안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사용된 '세션' 세션방식은 사용자가 로그인에 성공하면 서버는 '세션 표딱지'란 걸 출력한다.(a.k.a 입장표) 사용자 .. 더보기
2 JavaScript 추상화 구체적인 정보들은 숨기고 핵심만 뽑아내서 필요한 표현만 하는 방식을 추상화, Abstraction. 추상..추상 말은 어려울지 몰라도 우리 일상생활에 추상화된 많은 것들이 존재한다. 책의 내용을 함축한 책 제목이라던지.. 몇 시간짜리 영화의 줄거리라던지 등등.. 결국 디테일한 내용은 숨기고 목적에 맞게 필요한 핵심 정보만 표현을 한다. 왜 죄다 빼먹어~ 이럴 수 있지만 되려 이러한 표현들이 훨씬 효과적으로 소통이 가능할 수 있다는 장점이 크다. 프로그래밍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어떤 프로그램을 만든다는 것은 코드를 작성하는 자신과 소통이 될 수도 있고 작성한 코드를 실행하는 컴퓨터와 소통이 될 수있고 아니면 함께 코드를 작성하는 동료와 소통, 내가 만든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용자와의 소통이 될 수도.. 더보기
JavaScript 1 이젠 어떤 것을 학습하면 내가 누군가에게 쉽게 알려줄 수 있는 수준에 가까워질 수 있도록 의식을 하면서 공부를 해야겠다. 항상 읽고 머리로는 당장 이해가 되니까 내가 되새기면서 체화를 시키지 않는다.. 시간 낭비하지 말자............어차피 할껀데 ㅋ,,화이퉹 화이퉹..! 우리 생활에서 이젠 없어설 안될 존재.. 웹웹.. 인간의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어 주는 플랫폼이라는 개념의 이상으로 또 다른 우리의 생활 공간이자 삶이다. 웹은 89년에 처음 등장해서 90년도에 보편화가 시작됐다. 그 당시엔 그저 서로 글이나 숫자같은 아주 단순한 정보를 공유하는 역할만 했을 것.. 그치만 인간은 그것에 그치지 않지.. 더 나아가서 이미지, 영상도 공유할 수 있게 만들었고 더 나아가 채팅,은행 업무,게임 무궁무진한.. 더보기

반응형